

차세대 젊은 연극인들의 축제인 '젊은 연극제'가 오는 6월 3일 개막한다. '젊은 연극제'는 39개 대학 41개 팀이 참가한다.
1993년 최초로 '젊은 연극제'가 개최된 후 지금까지 31년을 쉬지 않고 달려온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는 연극축제로 처음 6개 학교의 참여로 시작되어 코로나 확산 이전에는 50개교, 코로나 이후에는 40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해마다 자유주제부터 고전, 고대 그리스비극까지 다양한 주제로 경연을 펼쳤으며, 올해는 한국의 근현대 희곡으로 ‘다시 쉬어가도록’이라는 주제로 축제가 진행된다. 코로나로 인해 침체 되었던 연극예술계와 힘들었던 사람들에게 축제를 통해 ‘쉼’을 제공하고 마스크 너머 함께 마주하며 같은 숨을 ‘쉬며’ 연극예술계가 다시 ‘숨 쉬어간다’라는 의미를 주제에 담고 있다.
'젊은 연극제'는 본 행사 이외에도 청소년 연기경연대회, 신진예술가 인큐베이팅, 해외 아티스트 강연 등 수많은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된다. 청소년 연기경연대회는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해서 5월 6일 6곳의 지역 예선을 거쳐 6월 10일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본선 행사가 이루어진다. 창작 인큐베이팅 사업은 6월 14일 대학로 민송아트홀에서 진행되고, 해외 아티스트 강연은 5월부터 릴레이 강연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부대행사로는 아트마켓, 버스킹 공연, 플래시몹 등이 있으며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한 달간 진행되는 연극축제 공연장은 대학로 소재의 열린극장, 민송아트홀, 동숭무대, 공간아울, 한예극장, 중앙대학교 공연예술원이고, 광진구의 세종아트홀 혼, 마포구의 메리홀 소극장과 대극장에서도 다양한 공연이 막을 올린다.
행사 집행위원으로 홍보 서포터즈분과 봉다룬 교수(두원공대), 학술커뮤니케이션분과 최유리(동서울대), 임주현 교수(정화예대), 창작 인큐베이팅분과 이지은(세명대), 박연주 교수(수원여대), 행사본부에 허연정 교수(동서울대)가 성공적인 축제 준비를 위해 노력중이다.
뉴스컬처 김기주 kimkj@knewscorp.co.kr
뉴스 원 글 바로가기
차세대 젊은 연극인들의 축제인 '젊은 연극제'가 오는 6월 3일 개막한다. '젊은 연극제'는 39개 대학 41개 팀이 참가한다.
1993년 최초로 '젊은 연극제'가 개최된 후 지금까지 31년을 쉬지 않고 달려온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는 연극축제로 처음 6개 학교의 참여로 시작되어 코로나 확산 이전에는 50개교, 코로나 이후에는 40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해마다 자유주제부터 고전, 고대 그리스비극까지 다양한 주제로 경연을 펼쳤으며, 올해는 한국의 근현대 희곡으로 ‘다시 쉬어가도록’이라는 주제로 축제가 진행된다. 코로나로 인해 침체 되었던 연극예술계와 힘들었던 사람들에게 축제를 통해 ‘쉼’을 제공하고 마스크 너머 함께 마주하며 같은 숨을 ‘쉬며’ 연극예술계가 다시 ‘숨 쉬어간다’라는 의미를 주제에 담고 있다.
'젊은 연극제'는 본 행사 이외에도 청소년 연기경연대회, 신진예술가 인큐베이팅, 해외 아티스트 강연 등 수많은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된다. 청소년 연기경연대회는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해서 5월 6일 6곳의 지역 예선을 거쳐 6월 10일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본선 행사가 이루어진다. 창작 인큐베이팅 사업은 6월 14일 대학로 민송아트홀에서 진행되고, 해외 아티스트 강연은 5월부터 릴레이 강연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부대행사로는 아트마켓, 버스킹 공연, 플래시몹 등이 있으며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한 달간 진행되는 연극축제 공연장은 대학로 소재의 열린극장, 민송아트홀, 동숭무대, 공간아울, 한예극장, 중앙대학교 공연예술원이고, 광진구의 세종아트홀 혼, 마포구의 메리홀 소극장과 대극장에서도 다양한 공연이 막을 올린다.
행사 집행위원으로 홍보 서포터즈분과 봉다룬 교수(두원공대), 학술커뮤니케이션분과 최유리(동서울대), 임주현 교수(정화예대), 창작 인큐베이팅분과 이지은(세명대), 박연주 교수(수원여대), 행사본부에 허연정 교수(동서울대)가 성공적인 축제 준비를 위해 노력중이다.
뉴스컬처 김기주 kimkj@knewscorp.co.kr
뉴스 원 글 바로가기